Processing math: 100%

[김영한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https://inf.run/d1LX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 인프런 | 강의

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 - 강의 소개 | 인프런...

www.inflearn.com

커리큘럼

65 강의 (12시간 7분)

싱글톤 컨테이너

강의 제목 시간 배운 점
32 웹 애플리케이션과 싱글톤 8 https://yeonni-history.tistory.com/81

스프링은 태생이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탄생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요청한다. 즉, 고객이 3번 요청하면 객체가 3개 생성된다.

스프링 없는 순수한 DI 컨테이너인 AppConfig는 요청을 할 때마다 객체를 새로 생성한다.
고객 트래픽이 초당 100이 나오면 초당 100개의 객체가 생성되고 소멸됨 -> 메모리 낭비가 심함

해결방안은 해당 객체가 딱 1개만 생성되고, 생성된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도록 설계하면 된다. -> 이게 바로 싱글톤 패턴
33 싱글톤 패턴 15 싱글톤 패턴
- static 영역에 객체 instance 를 미리 하나 생성해서 올려둔다. 이 객체 인스턴스가 필요하면 오직 getInstance 메서드를 통해서만 조회할 수 있다. 이것을 호출하면 항상 같은 인스턴스를 반환한다.
- 딱 1개의 객체 인스턴스만 존재해야 하므로, 생성자를 private로 막아서 혹시라도 외부에서 new키워드로 객체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을 막는다.

만들어진 객체를 공유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많은 문제점이 존재한다.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
- 싱글톤 패턴을 구현하는 코드 자체가 많이 들어간다. (기본적으로 넣어야할 코드가 존재)
- 의존관계상 클라이언트가 구체 클래스가 의존한다. -> DIP위반 (getInstance를 불러와야함)
- 클라이언트가 구체클래스에 의존해서 OCP 원칙을 위반할 가능성이 높다.
- 테스트하기 어렵다.
- 내부 속성을 변경하거나 초기화하기 어렵다.
- private 생성자로 자식 클래스를 만들기 어렵다.
- 유연성이 떨어진다... 안티패턴으로 불리기도 한다.

싱글토 컨테이너는 위에 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다 해결한다!!
34 싱글톤 컨테이너 7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패턴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1개만 생성)으로
관리한다. (ex. 동일한 memberService 반환)

싱글톤 컨테이너
-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턴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 이렇게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 한다.
- 싱글턴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객체를 싱글톤으로 유지할 수 있다.

스프링의 기본 빈 등록 방식은 싱글톤이지만, 싱글톤만 지원하는 것은 아님. 요청할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서 반환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35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 14 객체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해서 공유하는 싱글톤 방식은 여러 클라이언트가 하나의 같은 객체 인스턴스를 공유하기 때문에 싱글톤 객체는 무상태(stateless)로로 설계해야한다.

- 특정 클라이언트에 의존적인 필드가 있음 안됨
- 특정 클라이언트가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가 있음 안됨
- 가급적 읽기만.
- 자바에서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스프링 빈의 필드에 공유 값을 설정하면 정말 큰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스프링 빈은 항상 무상태(stateless)로 설계하자.
36 @Configuration과 싱글톤 13 https://yeonni-history.tistory.com/82

// memberService -> MemoryMemberRepository
// orderService -> MemoryMemberRepository

AppConfig.class에서 각각 두개의 MemoryMemberRepository를 생성하면서 Singleton이 깨지는 것처럼 보임

그러나 테스트코드를 돌리면 MemoryMemberRepository가 모두 같은 인스턴스가 공유되어 사용된다.
AppConfig자바 코드를 보면 분명히 다른 인스턴스가 생성되는데 로그를 출력하면 bean 생성시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한 줄만 출력됨.
37 @Configuration과 바이트코드 조작의 마법 15 AppConfig bean 클래스 이름을 출력해보면 다음과 같은 클래스 이름이 출력된다. -> AppConfigSpringCGLIB0

스프링이 CGLIB 라는 바이트코드 조작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AppConfig클래스를 상속받은 임의의 다른 클래스를 만들고,그 다른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 것이다.

임의의 다른 클래스가 바로 싱글톤이 보장되도록 해준다. Bean이 붙은 메서드마다 스프링 빈이 존재하면 존재하는 빈 반환, 없으면 생성해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고 반환하는 코드가 동적으로 만들어진다.

 

컴포넌트 스캔

강의 제목 시간 배운 점
38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관계 자동 주입 시작하기 19 설정 정보가 없어도 자동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ComponentScan. @Component가 붙은 클래스를 스캔에서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의존 관계도 자동으로 주입하는 @Autowired 기능도 제공. 생성자에서 여러 의존관계를 한 번에 주입할 수 있다. 스프링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해당 스플이 빈을 찾아서 주입함. 기본 조회 전략은 타입이 같은 빈을 찾아서 주입한다. getBean(MemberRepository.class)
39 탐색 위치와 기본 스캔 대상 12 basePackages, basicPackageClasses 사용하여 탐색 시작할 package 위치 지정 가능
지정하지 않으면 @ComponentScan이 붙은 설정 정보 클래스의 패키지가 시작 위치가 된다.
따로 지정하지 않고 설정 정보 클래스의 위치를 프로젝트 최상단에 두자. 스프링 부트도 이 방법을 기본으로 제공한다.

SpringBootApplication 안에 ComponentScan이 들어있다. 스프링을 쓰면 따로 해줄 필요가 없음

컴포넌트 스캔은 @Component 뿐만 아니라 밑의 Annotation들도 같은 역할을 하면서 추가 역할 제공함
@Controller - 스프링 MVC 컨트롤러로 인식
@Repository -스프링 데이터 접근 계층으로 인식, 데이터 계층의 예외를 스프링 예외로 변환
@Configuration : 스프링 설정 정보로 인식, 스프링 빈이 싱글톤을 유지하도록 추가 처리를 한다.
@Service - 스프링 비즈니스 로직에서 사용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는다. 대신 개발자들이 핵심 비즈니스 로직이 여기에 있겠구나 라고 비즈니스 계층을 인식하는데 도움이 된다.
40 필터 9 스프링 빈 등록
includeFilters = @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MyIncludeComponent.class),

스프링 빈 등록 X
excludeFilters = @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MyExcludeComponent.class)

스프링 부트는 컴포넌트 스캔을 기본으로 제공하는데, 옵션을 변경하면서 사용하기 보다는 기본 설정에 최대한 맞추어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41 중복 등록과 충돌 9 컴포넌트 스캔에서 같은 빈 이름을 등록했을 경우
1. 자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ConflictingBeanDenitionException 발생
2. 수동 빈 등록 vs 자동 빈 등록
- 수동 빈이 우선권을 가짐
- 수동 빈이 자동 빈을 오버라이딩 해버린다.

현실은 개발자가 의도하기 보다는, 놓친 버그. 이렇게 되었을 경우 찾기 어려운 버그가 되어버려 최근 스프링부트는 오류가 발생하도록 기본 값을 바꾸었다. -> CoreApplication 실행 후 확인 가능

https://yeonni-history.tistory.com/83

 

의존관계 자동 주입

강의 제목 시간 배운 점
42 다양한 의존관계 주입 방법 29 https://yeonni-history.tistory.com/84

- 생성자 주입
- 수정자 주입(setter)
- 필드 주입
- 일반 메서드 주입

43 옵션처리 12 수정자 주입(setter)를 사용할 경우 @Autowired(required=false) 처리로 option처리가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 시작이후 빈이 생성되는 경우 쓰면 된다.
44 생성자 주입을 선택해라 12 장점은 불변이다.
- 대부분의 의존관계 주입은 한번 일어나면 애플리케이션 종료시점까지 의존관계를 변경할 일이 없고,
- 대부분의 의존관계는 애플리케이션 종료 전까지 변하면 안됨.(불변해야 한다.)
- 생성자 주입은 객체를 생성할 때 딱 1번만 호출되므로 이후에 호출되는 일이 없다. 불변!!!!
final 키워드
- final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컴파일 시점에 값이 설정이 되지 않았다면 오류 발생!
- 컴파일 오류는 가장 빠르게 원인파악 가능하고, Good 오류다.
- 어느 주입 방법도 final을 사용할 수 없음
45 롬복과 최신 트랜드 11 롬복을 적용하면 생성자 주입을 `@RequiredArgsConstructor`로 바로 할 수 있다.
46 조회 빈이 2개 이상 - 문제 4 조회할 빈이 2개이상일 경우 오류 발생함.
해결방법은 아래 강의에서!
47 @Autowired 필드 명, @Qualifier, @Primary 13 @Autowired
- 타입 매칭
- 타입 매칭의 결과가 2개 이상일 떄, 파라미터 명으로 빈이름 매칭

@Qualifier
- 추가 구분자를 붙여줌
- @Qualifier("mainDiscountPolicy") 이름을 붙히면 그 bean을 가지고 옴
- 단점은 주입받을 때 모든 코드에 애노테이션을 붙혀줘야함
- primary보다는 qualifier가 우선권이 높다.

@Primary
-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
- Autowired시에 여러개가 설정되어있으면 우선권을 가진다.

@Primary, @Qualifier 활용
메인 데이터베이스의 커넥션을 획득하는 스프링 빈은 @Primary 를 적용해서 편리하게 조회하고
서브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빈을 획득할 때는 @Qualifier 를 지정해서 명시적으로 획득 하는 방식 사용
48 애노테이션 직접 만들기 5 public @interface AnnotationName
스프링이 제공하는 기능을 뚜렷한 목적 없이 무분별하게 재정의하는 것은 좋지 않다.
49 조회한 빈이 모두 필요할 때, List, Map 11 private final Map<String, DiscountPolicy> policyMap;
- map의 키에 스프링 빈 이름을 넣어주고, 그 값으로
DiscountPolicy 타입으로 조회한 모든 스프링 빈을 담아준다.

private final List<DiscountPolicy> policies;
- DiscountPolicy 타입으로 조회한 모든 스프링 빈을 담아준다.

호출 결과
policyMap = {fixDiscountPolicy=hello.core.discount.FixDiscountPolicy@183e8023, rateDiscountPolicy=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45efc20d}

policies = [hello.core.discount.FixDiscountPolicy@183e8023, 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45efc20d]


DiscountPolicy = policyMap.get("fixDiscountPolicy");
이렇게 Name으로 호출할 수 있음
50 자동, 수동의 올바른 실무 운영 기준 13 편리한 자동 기능을 기본으로 사용하자
직접 등록하는 기술 지원 객체는 수동 등록하고,
다형성을 적극 활용하는 비즈니스 로직은 수동 등록을 고민해보자!

업무 로직 빈 - 자동 기능 적극 활용. 어떤 곳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명확하게 파악하기 쉽다.

기술 지원 빈 - DB설정 등. 애플리케이션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는 기술 지원 객체는 수동 빈으로 등록해서 딱! 설정 정보에 바로 나타나게 하는 것이 유지보수 하기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