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Network] REST API, RESTful 이해와 설계 방법
GOAL REST의 개념을 이해한다. REST의 특징도 이해한다. REST의 설계 기본 규칙과 방법을 이해한다. RESTful의 개념도 이해한다. 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자원을 이름(자원의 표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받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REST는 네트워크상에서 Client와 Server 사이의 통신 방식 중 하나이다. 구체적인 개념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통해 자원(Resource)을 명시하고, HTTP Method(GET, POST, PUT, DELE..
2022. 3. 17. 19:32
no image
[Http Method] PATCH vs PUT 멱등성 보장? 비보장?
멱등 vs 비멱등 멱등 : 여러 번 요청해도 결과가 동일하다. 비멱등 : 여러 번 요청하면 그 결과가 누적돼서 나온다. (동일하지 않다) GET으로 조회하는 것은 멱등하다 새로고침을 여러번 한다고 해서 페이지가 바뀌는 경우는 없다. DELETE도 멱등하다. 삭제하고, 두번째 삭제에서는 삭제할 게 없어서 삭제된 것 처럼 표시된다. PUT 멱등하다. 해당 리소스를 완전히 교체해 버리기 때문에 멱등이다. PATCH 는? 아래 참고 PATCH vs PUT PUT : 자원의 전체 교체 PATCH : 자원의 부분 교체 PUT 잘못된 예시 PUT 옳은 예시 PATCH 원본 데이터 { "name" : "Hyeong","age" : 20 } 요청 body PUT /user/1 { "age" : 25 } PUT /user..
2021. 11. 22. 22:54